728x90
반응형

 

RPM 패키지 업데이트가 있어 yum으로 설치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아 yum으로 삭제했다.

 

*문제
실행파일은 /usr/bin/에 있는데 /usr/local/bin에 있는 파일을 실행하려고 한다.

 

    ~$tmux
    -bash: /usr/local/bin/tmux: No such file or directory
    ~$which tmux
    /usr/bin/tmux
    ~$echo $PATH
    /usr/local/sbin:/usr/local/bin:/usr/sbin:/usr/bin:/sbin:/bin:/usr/games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패키지를 재설치했으나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해결
hash -r 을 이용하여 bash의 cache(캐시)를 없애 주면 된다.

 

hash -r

 

#linux #path #경로문제 #bash #hash

728x90
SMALL
Posted by gromet
728x90
반응형

[LINUX] grep 결과에 따른 처리

 

사용자 목록에서 계정이름만 골라 해당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디렉토리 사용량을 표시해 주고 싶다.

 

# /bin/bash
res=`cat users.txt | grep $1 | awk '{print $2}'`;
if [ -z $res ];
	# if [ "$res" == 0 ]; 으로도 처리가 가능하다
 then
  echo "No Results"
 else
  echo "Found"
  dbmail-users -l $1@xxx.com
fi
du -sh $1

 

사용법

 

./test.sh user

Found
Opening connection to database...
Opening connection to authentication...
Ok. Connected
Info for user [user@xxx.com]
User ID         : 274
Username        : ueser@xxx.com
Client ID       : 0
Max. mailboxsize: 5000.11 MB
Quotum used     : 2981.39 MB (59.6%)

Aliases:
user@xxx.com

3.7G    user

 

#리눅스 #Linux #grep #awk #bash

 

 

728x90
SMALL
Posted by gromet
728x90
반응형

https://500px.com/photo/6058169/the-road-by-sascha-drobnjak

모델: HP DL360

 

갑자기 서버에서 팬소음이 크게 나서 확인해 보니 
LED 알람에서 내부 오류를 알리는 LED가 빨간색으로 깜빡이고 있었다.
서버에 로그인하여 확인해 보니 특별한 메세지는 없었고

[root@xxx log]# tail -f /var/log/messages
Dec 30 19:34:37 xxx kernel: sd 0:0:0:0: [sda] CDB: Write(10): 2a 00 10 da 8d f0 00 00 08 00
Dec 30 19:34:37 xxx kernel: end_request: I/O error, dev sda, sector 282758640
Dec 30 19:34:37 xxx kernel: sd 0:0:0:0: rejecting I/O to offline device
Dec 30 19:34:37 xxx kernel: sd 0:0:0:0: [sda] killing request
Dec 30 19:34:37 xxx kernel: sd 0:0:0:0: [sda] Result: hostbyte=DID_NO_CONNECT driverbyte=DRIVER_OK
Dec 30 19:34:37 xxx kernel: sd 0:0:0:0: [sda] CDB: Write(10): 2a 00 14 1a de c0 00 00 08 00
Dec 30 19:34:37 xxx kernel: end_request: I/O error, dev sda, sector 337305280
Dec 30 19:34:37 xxx kernel: Buffer I/O error on device dm-0, logical block 41983448
Dec 30 19:34:37 xxx kernel: lost page write due to I/O error on dm-0
Dec 30 19:34:37 xxx kernel: sd 0:0:0:0: [sda] Result: hostbyte=DID_NO_CONNECT driverbyte=DRIVER_OK

 

와 같이 디스크 관련 오류가 확인되었다.
해당 메세지 이후 모든 로그 기록 작동은 멈추었다.
하지만 웹서비스나 DB서비스는 문제가 없었다.

서버를 재부팅 하려고 했으나

[root@xxx log]# reboot
Bus error (core dumped)

 

재부팅이 되지 않았다.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재부팅할 수 있었다.

[root@xxx log]# reboot –fn

 

서버를 재부팅할 때 확인해 보니 BIOS 정보에서 RAID 컨트롤러에 문제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부팅 후 서버 동작에는 문제가 없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 이유는 다음과 같다.

RAID 컨트롤러 오류 또는 하드 디스크 오류로 인해 디스크 하위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이러한 종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메모리/디스크 캐시에 있는 바이너리 및 라이브러리는 계속 실행할 수 있지만 다른 바이너리는 IO 오류 또는 기타 치명적인 오류로 실패한다. 
만약 reboot 바이너리가 여전히 실행 가능하다면 
reboot -fn
이 시스템의 즉각적인 재부팅을 강제 할 것이다.
하드웨어가 여전히 작동하는 경우 약 5-10분 후에 다시 켜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누군가 물리적으로 하드웨어를 껐다 켜야 한다.

 

참고사이트 : https://serverfault.com/questions/57920/bus-error-when-trying-to-reboot-linux/57928

 

"bus error" when trying to reboot Linux

When trying to reboot a Linux server I got the typical 'System going down for reboot now', but the server has not rebooted. I have tried: reboot shutdown -r now The runlevel command returns 5. ...

serverfault.com

 

 

#linux #buserror #raidcontroller #HP #H240ar #버스에러 #레이드컨트롤러

728x90
SMALL
Posted by gromet

2021. 12. 10. 10:41 WorkHolic

SELinux 설정

728x90
반응형

1. 테스트 용도니까 SELinux는 꺼버리자.

setenforce 0

그리고 아래 파일 수정

/etc/selinux/config

수정할 내용 :
SELINUX=disabled

 

2. selinux 설정하는 부분에서 disabled로 수정하는것도 명령어로 가능합니다.
# lokkit --selinux=disabled

 

#Linux #SELinux

728x90
SMALL
Posted by gromet
728x90
반응형

 

 

 

현재 폴더에서 파일 크기가 0인 파일 모두 지우기 

# find . -size 0 -exec rm -rf {} \;

 

 

 

728x90
SMALL
Posted by gromet
728x90
반응형

NFS 서버 사용중 해당 서버의 문제로 연결이 끊어지거나 서버가 응답이 없을 때

참 난감하다.

unmount를 시켜도 device busy가 나오면서 unmount도 되지 않고,

df 를 하게되면 계속 멈춰있는 상태가 된다.

이런 경우 보통 서버를 강제 재부팅해야 해결이 되었다. 물론 /etc/fstab에 등록하여 자동 연결되도록 했다면 먼저 제거해야 한다.

 

매직워드 Magic Word 발견!

umount -l (mountpoint)

 

umount 옵션이나 man page에는 해당 옵션이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검색해 보니 Lazy unmount라고 한다.

 

-l 
    Lazy unmount. Detach the filesystem from the filesystem hierarchy 
    now, and cleanup all references to the filesystem as soon as 
    it is not busy anymore. (Requires kernel 2.4.11 or later.)

 

실행해 보니 해당 mount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없어서인지 바로 처리가 되었고, 깔끔하게 끝났다.

 

아래 사이트 댓글에서 확인 가능

https://access.redhat.com/solutions/28211

 

RHEL mount hangs: nfs: server [...] not responding, still trying - Red Hat Customer Portal

NFS shares hang with the following error(s) in /var/log/messages: kernel: nfs: server not responding, still trying kernel: nfs: server not responding, timed out

access.redhat.com

여기에서도 확인가능

https://idchowto.com/?p=28389

 

idchowto.com - 스마일서브(Cloudv.kr)

IDC구축,운영,보안등 모든 지식을 공유합니다

idchowto.com

 

728x90
SMALL

'WorkHol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달한 벌꿀 스틱  (0) 2021.03.31
휴대폰 만한 미니 PC  (0) 2021.03.29
SSD 돌연사  (0) 2021.03.15
리눅스를 이용한 usb 디스크 복제  (1) 2021.02.25
HP DL360 Gen10 Server 도착  (0) 2020.12.13
Posted by gromet
이전버튼 1 이전버튼

블로그 이미지
나는 운이 좋은 사람이다 나는 나날이 점점 더 좋아진다 내가 하는 선택과 행동은 반드시 성공으로 이어진다 내게는 인내력과 지속력이 있다 네게는 좋은것들만 모여든다
gromet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반응형

달력

 « |  » 2024.6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글 보관함

160x600